안성균의 작곡발표회 ‘IMMERSION(몰입)’이 오는 8월 9일 서울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열린다. ⓒ안콘텐츠랩 제공
[클래식비즈 김일환 기자] 피아노·바이올린·첼로 구성의 트리오와 전자음악을 대표하는 신디사이저가 경계를 허무는 전례 없는 무대를 선보인다. 전통적인 클래식의 긴장감 속에 유연한 전자음의 결을 덧입혀 익숙한 악기들이 다른 방식으로 감각을 자극하는 공감각적 음악 실험이 펼쳐진다.
안성균의 작곡발표회 ‘IMMERSION(몰입)’이 오는 8월 9일(토) 오후 5시 서울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열린다. 클래식 트리오(피아노·바이올린·첼로)와 신디사이저를 결합한 국내에서도 드문 구성으로 정통과 실험, 구조와 감각이 공존하는 몰입형 사운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공연의 주제 ‘IMMERSION’은 집중과 내면의 감각을 극대화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안성균 작곡가는 “좋아하는 게임을 하거나 책을 읽을 때처럼, 시간이 흐르는 줄도 모르고 깊이 빠져드는 상태다”라고 말했다.
몰입은 외부 자극이 차단되고, 오직 자신과 예술만이 존재하는 감각의 순간이다. 이 공연은 그 심리적 현상을 청각적으로 구현하며, 청자 스스로 음악의 흐름을 느끼고 해석하는 능동적인 감상을 유도한다.
이번 공연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피아노 트리오 1번’으로 시작된다. 이어 안성균의 창작곡 ‘피아노 트리오 1번 c단조(Op.7)’를 국내 초연한다. 이 작품은 총 8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악장은 ‘프롤로그’ ‘섬 집 아기’ ‘아리랑은 사라졌다’ ‘할머니와 여섯 살 아이’ ‘일출과 일몰은 다르다’ ‘피아노 공기놀이’ ‘바다의 지휘자’ ‘기억의 지배자’ 등 상징적이고 서사적인 제목으로 구성돼 있다.
피아니스트 조영훈, 바이올리니스트 정지훈, 첼리스트 최영(왼쪽부터)이 안성균의 작곡발표회 ‘IMMERSION(몰입)’에 함께 한다. ⓒ안콘텐츠랩 제공
안성균은 “현시대에 ‘한 사람의 이야기는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스스로에게 물으며 인간의 감정과 기억의 순간들을 음악으로 기록하고자 했다”며 “이 작품을 통해 인생을 감각으로 마주했던 한 사람의 이야기를 조용하지만 실험적인 음악의 언어로 담아냈다”고 말했다.
공연의 마지막 곡 ‘IMMERSION’은 작곡가가 의도하고자하는 모스 부호에서 착안해 완성한 작품이다. 긴박하게 반복되는 리듬과 점·선의 조합을 모티프로 삼아 내면의 절규, 집중, 그리고 감각적 고요함을 음악적으로 그려냈다.
안성균은 “단지 작곡 기법의 실험을 넘어서, 몰입이라는 감정 자체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를 되묻는 구성적 장치로 작용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번 무대는 연극, 뮤지컬, 클래식 등 다방면으로 창작 활동을 이어오며 현재 서울경제진흥원 콘텐츠개발부문 심의위원이자 안콘텐츠랩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인 작곡가 안성균의 작품발표회지만 든든한 우군들이 함께 한다.
섬세한 감성과 탁월한 테크닉으로 주목받아 현재 한국리스트협회 이사이자 유튜브 크리에이터 및 아즈앙상블 엠클래식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조영훈, 다양한 오케스트라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며 현재 앙상블 소브·에츠하임앙상블·벨레콰르텟 멤버로 활동 중인 바이올리니스트 정지훈, 그리고 깊이 있는 음색으로 호평 받으며 현재 클레프엠·베어콰르텟·트리오미르텐 멤버, 그리고 슈테른필하모니 수석·심포니송 단원으로 활동 중인 첼리스트 최영이 힘을 보탠다.
안성균은 음악극과 연극, 클래식, 다큐멘터리 등에서 독자적 음악세계를 구축해온 창작자로, 이번에 네 아티스트가 함께 만들어내는 음악은 세대를 관통하는 감각과 내면의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클래식 트리오와 신디사이저의 조합은 국내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시도로, 이 공연의 희소성과 실험성은 더욱 특별한 기대를 모은다. 이는 단발적인 이벤트가 아니라, 장르의 확장과 현대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창작 플랫폼이 될 것이다.
/kim67@classicbiz.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