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주갤러리 특별기획전 II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가 오는 10월 27일까지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 제주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갤러리 제공


[클래식비즈 박정옥 기자] 박정근, 성상은, 양화선, 이용원 네 명의 작가가 참여해 사진, 회화, 영상, 사운드스케이프로 도시 속에 희미해진 자연의 흔적과 그것을 인식하는 우리의 감각을 되살려내는 작품을 선보여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되짚고, 현대사회에서 점차 사라져가는 생태적 감수성을 다시 일깨우는 이 전시는 관람객과 예술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더욱 깊은 울림을 전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한국미술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가 주최·주관하는 2025 제주갤러리 특별기획전 II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가 지난 10월 2일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 제주갤러리에서 개막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관람객들은 “우와~!” “정말 재미있다”는 반응과 함께 전시 작품 앞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부 작품은 직접 터치하거나 손전등으로 비추며 감상할 수 있어,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작품과 교감하며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마주하는 장면이 곳곳에서 연출된다.

2025 제주갤러리 특별기획전 II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가 오는 10월 27일까지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 제주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갤러리 제공
2025 제주갤러리 특별기획전 II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가 오는 10월 27일까지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 제주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갤러리 제공


성상은 작가의 작품들 앞에서는 자연에 대한 통찰과 기발한 상상력에 감탄이 이어지고, 양화선 작가의 ‘구상나무’ 시리즈 앞에서는 “인간은 나빠” “우리 잘못이야”와 같은 안타까운 탄식이 들려온다. 이는 사라져가는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현실을 직면한 감정이기도 하다.

이용원 작가의 사운드스케이프 작업은 자연의 기억을 청각적으로 불러내며, 어릴 적 익숙했던 풍경이나 자연과 하나였던 순간들을 떠올리기도 한다. 박정근 작가의 ‘Echoes of Fragility’ 앞에서는 높게 퍼지는 불협화음과 함께, 씁쓸한 표정이나 깊은 한숨을 내쉬는 관람객들의 반응이 반복되며 자연과 인간 사이의 위태로운 관계를 성찰하게 만든다.

2025 제주갤러리 특별기획전 II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가 오는 10월 27일까지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 제주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갤러리 제공
2025 제주갤러리 특별기획전 II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가 오는 10월 27일까지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 제주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갤러리 제공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는 자연을 보호하거나 이상화하려는 전시가 아니다. 개발과 소비로 인해 지워진 풍경을 다시 기억하게 하고, 결핍과 부재 속에서도 자연은 여전히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자연을 통제하거나 관리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닌, 고유한 존재로서 존중받아야 할 주체로 바라보며, 인간과 자연이 상호 배려할 수 있는 관계의 가능성을 묻는다.

전시 제목 속 ‘부엉이’는 인간과 자연을 잇는 상징적 존재다. 베란다에 날아든 부엉이는 우리가 잊고 지낸 자연의 징후이자, 인간과 자연이 다시 조심스럽게 화음을 맞추기 시작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품고 있다. ‘칸타타’는 서로 다른 악장들이 하나의 곡을 이루는 음악 형식이다. 이번 전시에서 서로 다른 감각을 지닌 네 작가는 분절된 자연의 조각들을 하나의 합창처럼 엮어내며, 감각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자연과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전시는 오는 10월 27일까지 열리며,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청각적으로 경험해 보는 전시연계 워크숍 ‘사라져가는 소리를 찾아서: 인사동 사운드스케이프 기록’이 참여 작가인 이용원 진행으로 10월 16일에 열린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갤러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베란다 부엉이의 칸타타’는 우리가 놓쳐왔던 자연과의 관계를 다시 기억하고, 무뎌졌던 감각을 천천히 되살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 인간과 자연이 조심스럽게 화음을 이루기 시작한 지금, 그 첫 소리를 서울 인사동에서 들어볼 수 있다.

/park72@classicbiz.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