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리뷰] 자식 잃은 모든 어머니의 마음 위로하다...정명훈의 인간적인 ‘스타바트 마테르’

KBS교향악단과 호흡 맞춰 로시니 ‘슬픔의 성모’ 연주
​​​​​​​황수미·김정미·김승직·사무엘윤 따듯한 목소리도 일품

박정옥 기자 승인 2024.07.22 10:01 | 최종 수정 2024.07.27 09:52 의견 0
테너 김승직·소프라노 황수미·메조소프라노 김정미·베이스바리톤 사무엘 윤(왼쪽부터)이 정명훈이 지휘하는 KBS교향악단과 호흡을 맞춰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를 들려주고 있다. ⓒKBS교향악단 제공


[클래식비즈 박정옥 기자] 무대 왼쪽부터 메조소프라노 김정미·소프라노 황수미·테너 김승직·베이스바리톤 사무엘 윤이 섰다. 그들이 부른 곡은 조아키노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Stabat Mater)’. 모두 10곡으로 구성된 종교음악이지만, 현재는 종교라는 테두리를 훌쩍 뛰어넘어 누구에게나 감동을 주는 ‘일반음악’으로 승격됐다.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지켜봐야 했던 성모 마리아의 가슴 아픈 심정을 절절히 묘사한 중세의 시가가 있었다. 그 시의 첫 구절이 ‘스타바트 마테르 돌로로사(Stabat mater dolorosa)’, 즉 ‘슬픔에 빠진 성모가 서 계시네’라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그래서 ‘스타바트 마테르’라는 제목이 붙었다. 우리말로 ‘슬픔의 성모’ ‘성모애가’ 등으로 번역된다.

12일 롯데콘서트홀. 정명훈이 포디움에 올랐다. 연주는 KBS교향악단과 안양시립합창단·인천시립합창단이 맡았다. 이날 공연은 KBS교향악단의 마스터즈 시리즈의 일환으로 열렸다. 마스터즈 시리즈는 국내외 최정상급 지휘자 또는 협연자가 직접 심도 있고 깊이 있는 곡을 선정해 자신의 음악세계를 드러내 보일 수 있는 기획무대다.

올해 ‘마스터’를 맡은 정명훈은 두 차례에 걸쳐 고결함과 따뜻함이 어우러진 이탈리아 종교 합창음악의 정수를 선사했다. ‘스타바트 마테르’에 앞서 지난 3월 7일에는 주세페 베르디의 ‘레퀴엠’을 연주했다.

정명훈은 KBS교향악단의 차기 음악감독으로 유력하다는 소식이 들린다. 1998년 KBS교향악단 상임지휘자를 지낸 정명훈이 내년부터 음악감독으로 선임된다면 27년 만의 악단 복귀가 된다.

베이스바리톤 사무엘윤·테너 김승직·메조소프라노 김정미·소프라노 황수미(왼쪽부터)가 정명훈이 지휘하는 KBS교향악단과 호흡을 맞춰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를 들려준뒤 관객에게 인사하고 있다. ⓒKBS교향악단 제공


합창과 솔리스트 4중창으로 이루어진 제1곡을 지나 테너의 솔로곡으로 구성된 제2곡이 흘렀다. 테너 김승직은 ‘탄식하는 어머니의 마음(Cujus animam)’에서 이 곡의 지향점을 잘 표현해 냈다.

“성모의 애끓는 마음, 비참한 마음, 고통에 찬 마음을 쌍날칼이 꿰뚫는구나. 아, 얼마나 슬프고 절망스러우셨을까! 외아드님의 어머니, 그 복되신 분이 그 얼마나 근심하시고 괴로워하시며 몸서리치셨을까. 고개 떨구신 아드님의 고통을 보시며.”

계속해서 상승하는 선율 사이로 낭랑한 음성이 끝없이 솟아올랐다. 하느님 곁으로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인간의 소망 같은 목소리다. 그런데 가슴을 아리게 하는 차디 찬 슬픔이 아니다. 온화한 모성애의 상징인 성모가 노래하듯 우리를 부드럽게 감싸준다. 자식을 잃은 세상의 모든 어머니를 위로하는 노래다.

로시니는 기에타노 도니제티, 빈센조 벨리니와 함께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 3대 작곡가다. ‘세비야의 이발사’ ‘라 체네렌톨라’ 등 화려하고 아기자기한 코믹오페라에 능했고, ‘모세’ ‘윌리엄 텔’ 등 장대한 비극에서도 솜씨를 발휘했다. 그의 음악언어는 화사한 이탈리아의 태양처럼 밝으며 기교적인 화려한 세공미가 특징이다. 이런 기본적인 특징이 ‘스타바트 마테르’에도 그대로 투영됐다. 종교적 필이 느껴지기 보다는 오히려 오페라 속 멋진 테너의 시그니처 아리아가 연상됐다. 성스럽지만, 인간적인 성스러움이다.

정명훈이 지휘하는 KBS교향악단이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를 연주한뒤 관객에게 인사하고 있다. ⓒKBS교향악단 제공


소프라노 황수미와 메조소프라노 김정미가 엮어간 제3곡은 애절했다. “어떤 이가 울지 않으랴? 애타게 간구하는 그리스도의 어머니를 보면서. 그 누가 슬퍼하지 않을 수 있으랴? 아드님과 함께 고통 받으시는 애달프신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노랫말이 뭉클하다.

제4곡 베이스 아리아, 제5곡 베이스 레치타티보·합창을 거쳐 제6곡 4중창에 이르렀다. 성악가들이 자리를 바꿨다. 왼쪽부터 테너 김승직, 소프라노 황수미, 메조스포라노 김정미, 베이스바리톤 사무엘윤이 위치했다. 다섯 소절을 테너→소프라노+테너→베이스바리톤+메조소프라노→4중창→4중창 순서로 불렀다. 변화무쌍한 서라운드 음악이다.

제7곡 메조소프라노 카바티나, 제8곡 소프라노 아리아·합창을 거쳐 제9곡 합창 ‘예수여 육신은 죽어도(Quando corpus morietur), 제10곡 피날레 아멘(Amen)에 이르면서 분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다. 중세 수도사들의 찬송을 듣는 듯한 아카펠라의 진한 무채색 감동(제9곡) 위에 이중 푸가로 이뤄진 아멘의 종결부가 찬란한 오케스트라와 합쳐지며 마무리(제10곡) 됐다.

안토닌 비발디,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등 위대한 이탈리아 선배 음악가들이 작곡한 ‘스타바트 마테르’의 전통을 이은 로시니는 그들과 결이 달랐다. 우윳빛 자애로운 서정이 작품 전체를 감싸고 있다. 조금만 절제를 잃고 벨칸토 작곡가 특유의 화려함에 집착했다면 이 음악이 주는 본질적 감동을 놓칠 수 있었지만,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절묘한 절충을 이루어냈다.

정명훈은 그런 로시니의 의중을 정확히 꿰뚫었다. 마에스트로는 우리 시대 가장 뛰어난 ‘스타바트 마테르’ 해석자로 손꼽힌다. 그는 1995년 빈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처음 지휘할 때 이 작품을 선택했고 나중에 따로 음반도 남겼다. 이탈리아 스타일의 서정미와 화려한 빛의 성찬과도 같은 싱싱한 생명력을 잃지 않으면서도, 가슴을 쓸어내리는 듯한 달콤하고 애절한 슬픔의 씨앗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통찰력이 빛났다.

정명훈이 지휘하는 KBS교향악단이 슈베르트의 교향곡 8번 ‘미완성’을 연주하고 있다. ⓒKBS교향악단 제공


정명훈과 KBS교향악단은 1부에서 프란츠 슈베르트의 교향곡 8번 ‘미완성’을 연주했다. 이유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지만, 슈베르트는 8번 교향곡을 끝내 완성하지 못하고 서른한 살이라는 나이에 저 세상으로 떠났다. 전체 4악장으로 구성됐어야 할 교향곡이 그 절반인 단 두 악장만 전해진다는 것은 슬픔이고 비극이다. 형식적인 단정함과 충만한 서정으로 가득 찬 내용 간의 조화가 너무 완벽해 미완에 대한 아쉬움은 너무도 크다.

첼로와 더블베이스의 서늘한 저현이 조심스럽게 서주를 연주하며 교향악의 문을 열었다. 오스트리아의 깊디깊은 침염수림을 걷는 듯한 신비로운 표정이 이어졌다. 섬세한 운동감을 지닌 바이올린이 차분하면서 비극적인 정경을 스케치해 나갔다. 지성과 감성의 완벽한 조화다.(1악장)

느리고 투명한 음악으로 채워졌다. 시냇물의 흐름이나 봄날의 새소리 같은 소박하고 작은 동기들이 아름답게 펼쳐졌다. 한없이 충만하고 조화로운 음악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갔다.(2악장)

음악평론가 류태형(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은 “슈베르트 ‘미완성 교향곡’은 유유자적한 템포가 마음에 쏙 들었지만, 음색을 들으며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환상에서 깨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로시니 ‘스타바트 마테르’는 폭포처럼 쏟아지는 합창과 소프라노 황수미 등 독창자들의 활약으로 드라마틱한 인상을 남겼다. 왜 정명훈이 ‘영적인 지휘자’라는 평을 들었는지 알 수 있었던 연주였다”고 덧붙였다.

/park72@classicbiz.kr

저작권자 ⓒ ClassicBiz,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