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1년 비에니아프스키 콩쿠르 우승에 빛나는 바이올리니스트 알레나 바예바는 쇼스타코비치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으로 서울시향과 첫 협연한다. ⓒ서울시향 제공
[클래식비즈 박정옥 기자] 서울시립교향악단이 드뷔시의 ‘바다’와 라벨의 ‘고귀하고 감상적인 왈츠’로 프랑스 음악의 향연을 펼친다. 프랑스에서 태어나 유럽에서 활동하며 올리비에 메시앙에게 작곡을 배운 휴 울프가 서울시향과 다섯 번째 호흡을 맞춘다.
2001년 비에니아프스키 콩쿠르 우승에 빛나는 바이올리니스트 알레나 바예바는 쇼스타코비치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협연한다. 그는 바로크·고전·낭만주의 음악부터 현대음악까지 방대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시향 데뷔 무대다.
서울시향은 5월 15일(목)과 16일(금)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2025 서울시향의 드뷔시와 라벨’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프랑스의 거장 올리비에 메시앙의 마지막 제자이자 중국 출신의 프랑스 작곡가인 천치강의 ‘오행(五行)’으로 시작한다. ‘오행’은 1998년 ‘라디오 프랑스’ 방송국 의뢰로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2001년 영국 공영방송 BBC에서 주최한 ‘마스터프라이즈 시상식’에서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중국 고유의 ‘오행설’을 바탕으로 작곡됐고 2분 안팎의 길이를 가진 다섯 개의 소곡이 우주를 구성하는 원소 수(水),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원소를 음악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지휘자 휴 울프는 서울시향과 다섯 번째로 호흡을 맞춰 5월 15일과 16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드뷔시와 라벨을 연주한다. ⓒ서울시향 제공
이어 바이올리니스트 알레나 바예바가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으로 서울시향 데뷔 무대에 오른다. 1985년 키르기스스탄 태생의 바예바는 16세의 나이에 2001년 비에니아프스키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이후 2004년 파가니니 콩쿠르와 2007년 센다이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뉴욕 필하모닉, 홍콩 필하모닉, 런던 필하모닉 등 세계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고악기로 다양한 레퍼토리를 연주하고 녹음하고 있다.
바예바는 쇼스타코비치 서거 50주년을 맞아 20세기 바이올린 협주곡 장르의 대표 걸작으로 손꼽히는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협연한다. 스탈린 체제의 억압 속에서도 자유를 향한 갈망을 담고 있으며, 쇼스타코비치 특유의 슬픔과 고독이 짙게 배어 있다. 장대한 카덴차와 화려한 기교로 바이올린의 극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며, 17세부터 거의 매 시즌 이 곡을 다뤄온 바예바의 깊이 있는 해석과 강렬한 서사가 기대된다.
2부에서는 서울시향과 다섯 번째 호흡을 맞추는 휴 울프의 지휘로 올해 탄생 150주년을 맞는 프랑스 작곡가 라벨의 ‘고귀하고 감상적인 왈츠’와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대가로도 정평이 나 있는 드뷔시의 ‘바다’를 연주한다.
라벨의 ‘고귀하고 감상적인 왈츠’는 피아노 소곡 장르의 선구자 슈베르트에게 헌정하는 오마주로 일곱 개의 짧은 왈츠와 에필로그로 구성돼 있다. 라벨 특유의 복잡하고 세련된 화성, 리듬의 불규칙성, 섬세한 음색의 변화를 통해 감미롭고 몽환적인 분위기와 함께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새로운 음악 세계를 보여준다.
드뷔시의 ‘바다’는 그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아이디어의 원천이자 꿈의 고향인 바다를 소재로 쓴 다수의 작품 중 가장 규모가 큰 곡으로 풍성한 오케스트레이션과 힘찬 리듬이 인상적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계적이고 연속적으로 변모하는 바다의 풍경과 정서를 한 폭의 그림처럼 묘사하고 있으며 내면의 인상, 감정, 움직임을 섬세한 음색으로 표현하고 있다. 중도와 중용의 리더십으로 작곡가의 감성을 잘 살려내는 지휘자 휴 울프의 연주가 기대되는 무대다.
티켓은 좌석 등급별 1만~10만원이며, 서울시향 누리집과 콜센터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서울시향 누리집 회원은 1인 4매까지 10% 할인받을 수 있고, 만 24세까지 회원은 본인에 한해 40% 할인 혜택도 제공한다.
/park72@classicbiz.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