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백건우가 오는 12월 비발디의 ‘사계’를 빅히트 시킨 이 무지치(I MUSICI)와 처음으로 호흡을 맞춘다. ⓒ크레디아 제공


[클래식비즈 민은기 기자] ‘건반 위의 구도자’ 백건우가 비발디의 ‘사계’를 빅히트 시킨 이 무지치(I MUSICI)와 처음으로 호흡을 맞춘다. 이들은 바로크, 고전, 현대음악 등 폭 넓은 프로그램을 선사하는 가운데 특히 헨리크 구레츠키의 ‘피아노 협주곡’을 한국 초연해 기대를 높이고 있다.

오는 12월,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실내악단 이 무지치가 4년 만에 내한해 전국 투어에 나선다. 2021년 소프라노 조수미와 함께 바로크 무대를 선보였던 이 무지치는 이번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특별한 무대를 준비한다.

백건우와 이 무지치의 만남은 처음이지만,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많다. 1951년 창단돼 7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온 이 무지치와 1956년 데뷔 이후 70여년 가까이 활동해 온 백건우는 모두 긴 세월 동안 세계무대에서 활약해 왔으며, 다양한 레퍼토리와 잘 알려지지 않은 음악을 발굴해 청중에게 소개해 왔다는 점에서 닮아 있다.

창단 직후 토스카니니의 찬사를 받으며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 무지치는 당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비발디의 ‘사계’를 세계적인 레퍼토리로 만든 주역이다. 또한 알비노니, 코렐리, 제미니아니, 스카를라티 등 이탈리아 바로크 작곡가들의 작품을 재발견해 소개해 왔으며 니노 로타, 엔니오 모리코네, 류이치 사카모토 등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도 꾸준히 무대에 올렸다. 약 100종에 달하는 음반 카탈로그는 이들의 폭넓은 레퍼토리를 보여준다.

비발디의 ‘사계’를 빅히트 시킨 이 무지치(I MUSICI)가 오는 12월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처음으로 호흡을 맞춘다. ⓒ크레디아 제공


피아니스트 백건우 역시 마찬가지다. 그는 11세에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국내 초연한 것을 비롯해 메시앙, 부조니, 리스트, 포레, 그라나도스 등의 곡 가운데 한국에서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작품을 처음 소개했다. 또한 라벨 피아노 전곡, 프로코피예프 협주곡 전곡, 베토벤 소나타 전곡과 같은 전곡 연주 프로젝트를 통해 한 작곡가의 세계를 깊이 연구해 왔다.

백건우는 “나는 어떤 작곡가의 작품을 시작하면 그를 둘러싼 모든 것을 알고 싶다”고 말한 바 있는데, 그는 평생 새로운 레퍼토리에 도전하며 낯선 작품을 발굴하고 깊이 천착해 왔다. 최근에는 모차르트 앨범을 발표하는 등 80세를 앞둔 지금도 변함없이 음악적 탐구를 이어가고 있다.

백건우는 이번 이 무지치와의 공연에서도 새로운 곡을 소개한다. 폴란드 작곡가 구레츠키의 ‘피아노 협주곡(Op.40)’을 한국 초연으로 선보인다. 또한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K.414)’도 연주한다.

이 무지치는 제미니아니의 ‘라 폴리아’, 버르토크의 ‘루마니아 민속 무곡’, 쇼스타코비치의 ‘다섯 개의 소품’, 레스피기의 ‘고풍적 춤곡과 아리아 모음곡 3번’ 등 바로크에서 고전, 20세기와 현대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사한다.

이탈리아와 한국을 대표하는 두 예술가가 함께하는 이번 무대는 도합 140여년에 걸친 음악 여정을 확인하는 동시에, 깊이 있는 해석과 만남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순간이 될 것이다.

‘백건우 & 이 무지치’ 공연은 오는 12월 17일(수) 오후 7시 30분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며 전주, 대구, 부산, 천안, 창원에서의 투어공연도 예정되어 있다. 티켓가격은 5만~17만원.

/eunki@classicbiz.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