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무용단의 4월 24일부터 27일까지 나흘간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지난해 부임한 윤혜정 단장의 첫 안무작 ‘스피드’를 선보인다. 김민지와 노연택이 5분 독무를 펼칠 더블캐스팅 주인공으로 나선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클래식비즈 박정옥 기자] “한국무용은 느리고, 정적이며, 고요하다는 편견을 깨고 싶습니다.”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무용단의 2025년 첫 공연이자 지난해 부임한 윤혜정 단장의 첫 안무작 ‘스피드’가 무대에 오른다. 4월 24일(목)부터 27일(일)까지 나흘간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선보인다.
● 정적인 한국춤 이미지 벗고, 오늘날 속도와 발맞추는 ‘스피드’
서울시무용단의 4월 24일부터 27일까지 나흘간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지난해 부임한 윤혜정 단장(사진)의 첫 안무작 ‘스피드’를 선보인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스피드’는 한국무용의 기본적 요소들 중 하나인 장단, 즉 박자를 실험한다. 장단에 변화를 주고, 속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며, 그에 따라 변화하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몰입도 높게 감상할 수 있다.
작품을 안무한 윤혜정 단장은 25일 “한국무용의 속도감은 무용수에게 내적으로 체화된 움직임에서 비롯하고, 발레나 현대무용의 외형적 테크닉이 만드는 속도감과는 차이가 있다”며 “한국춤의 동시대성을 찾기 위해 다양한 요소 가운데 속도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한국무용은 전통적으로 음악과 긴밀한 관계에 있으며, 특히 전통악기 중 장구는 한국춤의 기본이 되는 장단을 만들어낸다. 윤 단장은 장구가 박자와 속도를 주도하는 악기라는 점에 주목하고, 장구의 리듬에 자유로운 속도 변화와 기교를 더한다. 다채로운 리듬에 유연하게 적응하며 새로운 에너지를 찾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이 ‘스피드’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 5분간 독무 펼칠 더블캐스팅 주인공은 김민지·노연택
서울시무용단의 4월 24일부터 27일까지 나흘간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지난해 부임한 윤혜정 단장의 첫 안무작 ‘스피드’를 선보인다. 김민지와 노연택이 5분 독무를 펼칠 더블캐스팅 주인공으로 나선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스피드’는 프롤로그, 6개의 장, 에필로그로 이루어졌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장단 속 2인무·군무 등 다채로운 춤이 펼쳐지고, 5장에 다다르면 단 한 명의 무용수가 정해진 안무 없이 즉흥적으로 춤을 추는 5분이 펼쳐진다. 무용수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음악과 미디어아트 또한 시시각각 변화해 매 회차 색다른 공연이 펼쳐진다.
5분의 즉흥 무대를 채울 주인공으로 서울시무용단 차세대 대표 주자로 주목받는 김민지와 노연택을 발탁했다. 김민지는 장르의 경계를 넘어 현대무용 등 다양한 무대에 섰던 이력이 있고, 노연택은 동아무용콩쿠르 금상·전국무용제 최우수무용수상 등을 받은 실력파다.
김민지는 24일(목)과 26일(토)에, 노연택은 25일(금)과 27일(일)무대에 선다. 아주 느린 박자에서 시작해 속도를 올리고, 극도로 빠른 속도에 도달했다가 다시 느림으로 돌아가는 흐름 속, 두 무용수의 개성을 만나볼 수 있다.
● 타악·전자음악·LED 영상까지 가세해 초현실적 무대 연출
서울시무용단의 4월 24일부터 27일까지 나흘간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지난해 부임한 윤혜정 단장의 첫 안무작 ‘스피드’를 선보인다. 김민지와 노연택이 5분 독무를 펼칠 더블캐스팅 주인공으로 나선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스피드’ 무대 위에서는 타악 연주자와 전자음악가의 즉흥적인 협업도 펼쳐진다. 2년 연속(2023·2024) 세종문화회관 싱크 넥스트(Sync Next) 무대에 오르며 작년 영국 런던EFG재즈페스티벌까지 진출한 국악 그룹 ‘SMTO무소음’의 구성원이자, 밴드 블랙스트링에서 타악을 주도하는 연주자 황민왕이 무대에 설 예정이다.
프랑스 출신 음악가 해미 클레멘세비츠도 함께 무대에 올라, 타악과 전자음악의 화려한 컬래버레이션을 선보인다. 해미 클레멘세비츠는 프랑스 마르세유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 중인 음악가이자 시각 예술가다. 그는 “현대무용 작업을 많이 했는데 한국무용은 이번 ‘스피드’가 처음이다”라며 “한국무용의 움직임은 속도가 빨라지더라도 그 안에 부드러움과 섬세함이 있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무대에는 모래시계 형태의 대형 오브제가 자리를 잡는다. 장구의 외형이 모래시계와 닮았다는 점에서 착안한 오브제로, 속도와 시간의 관계를 상징할 예정이다. 여기에 무대 위로 펼쳐지는 비주얼디렉터 이석의 LED 영상이 더해져, 라이브 연주와 함께 가속으로 치닫는 움직임을 극대화한다. 중력을 거스른 듯한 움직임의 순간이 환상적인 무대 영상과 만나 초현실적인 무대를 연출한다.
/park72@classicbiz.kr